728x90

노동법 및 이슈 81

가을은 남자의 계절? 고독한 남자가 위험하다

분노·음주·신체 증상으로 우울감 표출…‘강한 남성=감정 억압’ 꽁꽁 옭아매 정서적 네트워크 단절…자살률 女 2.2배 남성끼리도 힘든 마음 공유 안 해…“가족·전문가 등 사회적 지지 확보해야” ​ 출처 : 동아일보 ​ # “퇴근 후 차 안에 혼자 있는 시간이 가장 행복” ​ 자녀 둘을 키우는 조모 씨(39)는 4년 전 첫째가 태어나 행복하기도 했지만, 가족을 책임져야 한다는 무게가 점차 어깨를 짓눌렀다. 육아와 가사 분담 문제로 아내와 다툼이 잦아지면서 부부간 대화도 줄었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게임에 몰두해봤지만 이마저도 흥미를 잃었다. 참을 수 없이 답답한 날에는 차에서 음악을 틀고 남몰래 소리를 지르곤 한다. ​ # “집에 가면 강아지만 날 반겨” ​ 50대 가장 박모 씨가 밤늦게 퇴근하면 반겨주는..

크레인 위험요인 및 안전작업방법

​ 1. 크레인이란? 크레인은 양중기의 일종으로서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전ㆍ후, 좌ㆍ우 및 상ㆍ하로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주요 구성요소로는 거더, 지브 등의 구조부분과 권상장치, 주행장치, 횡행장치 등의 기계장치 그리고 권상용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운전실 등이다. 크레인은 구조에 따라 천장크레인, 갠트리크레인, 지브크레인, 타워크레 인, 이동식 크레인 등으로 구분된다. ​ 2. 크레인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2.2 천장크레인, 갠트리크레인, 지브크레인 위험요인 - 달기구(와이어로프, 달기체인, 벨트, 샤클, 훅(Hook) 등) 파손ㆍ파단으로 인한 하물(荷物)의 낙하 위험 - 훅(Hook)에서 달기구 이탈로 인한 하물(荷物)의 낙하 위험 - 중량물 운반구간 ..

수공구 사용에 의한 재해예방대책

1. 수공구란? ​ 작업자가 제작ㆍ보수ㆍ수리 등 인력에 의한 작업을 할 때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도구를 말하며,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사용하거나 올바른 사용법에 의한 사용이 되지 아니할 경우 재해의 위험이 있어 반드시 사용법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여야 한다. ​ ​ 2. 수공구의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 위험요인 -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수공구를 사용 중 무게중심을 잃고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경우 - 망치 등 타격공구 손잡이가 헐겁거나, 금이 가고 쪼개져 서 사용 중 망치머리가 비래(飛來)하는 경우 - 끌을 드라이버 대용으로 사용하는 등 수공구 설계기준을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 가공물, 파편의 비래(飛來) 또는 제품 결속용 밴드 해체시 튕김이 발..

휴게시설 설치의무화 제도 시행 안내

2022년 8월 18일부터 시행 휴게시설 설치의무화 제도 시행 안내 ​ ​ 제도개요 개요 : 2021. 8. 17.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제128조의2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관계수급인의 근로자를 포함)가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휴식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갖추어야 함 ※ 미설치 시 과태료 1천5백만원 이하, 설치,관리기준 미준수 시 과태료 1천만원 이하 시행 : 2022. 8. 18.부터 시행하되 제도 현장안착 및 사업주의 준비기간 부여 등을 위해 사업장 규모별 차등 시행 ※ 상시근로자 50명 이상(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 2022. 8. 18. 시행 상시근로자 50명 이상(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 2023. 8. 18. 시행 ​ ​ 제재대..

크레인 위험요인 및 안전작업방법

1. 크레인이란? 크레인은 양중기의 일종으로서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전ㆍ후, 좌ㆍ우 및 상ㆍ하로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주요 구성요소로는 거더, 지브 등의 구조부분과 권상장치, 주행장치, 횡행장치 등의 기계장치 그리고 권상용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운전실 등이다. 크레인은 구조에 따라 천장크레인, 갠트리크레인, 지브크레인, 타워크레 인, 이동식 크레인 등으로 구분된다. ​ 2. 크레인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2.2 천장크레인, 갠트리크레인, 지브크레인 위험요인 - 달기구(와이어로프, 달기체인, 벨트, 샤클, 훅(Hook) 등) 파손ㆍ파단으로 인한 하물(荷物)의 낙하 위험 - 훅(Hook)에서 달기구 이탈로 인한 하물(荷物)의 낙하 위험 - 중량물 운반구간 내 ..

수공구 사용에 의한 재해예방대책

1. 수공구란? ​ 작업자가 제작ㆍ보수ㆍ수리 등 인력에 의한 작업을 할 때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도구를 말하며,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사용하거나 올바른 사용법에 의한 사용이 되지 아니할 경우 재해의 위험이 있어 반드시 사용법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여야 한다. ​ 2. 수공구의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 위험요인 -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수공구를 사용 중 무게중심을 잃고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경우 - 망치 등 타격공구 손잡이가 헐겁거나, 금이 가고 쪼개져 서 사용 중 망치머리가 비래(飛來)하는 경우 - 끌을 드라이버 대용으로 사용하는 등 수공구 설계기준을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 가공물, 파편의 비래(飛來) 또는 제품 결속용 밴드 해체시 튕김이 발생하..

휴게시설 설치의무화 제도 시행 안내

2022년 8월 18일부터 시행 휴게시설 설치의무화 제도 시행 안내 ​ ​ 제도개요 개요 : 2021. 8. 17.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제128조의2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관계수급인의 근로자를 포함)가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휴식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갖추어야 함 ※ 미설치 시 과태료 1천5백만원 이하, 설치,관리기준 미준수 시 과태료 1천만원 이하 시행 : 2022. 8. 18.부터 시행하되 제도 현장안착 및 사업주의 준비기간 부여 등을 위해 사업장 규모별 차등 시행 ※ 상시근로자 50명 이상(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 2022. 8. 18. 시행 상시근로자 50명 이상(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 2023. 8. 18. 시행 ​ ​ 제재대..

그녀가 골 넣고 상의 던지자 나이키가 웃었다 - 운동하는 여성 잡아라

​ 지난달 31일(현지 시각)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22 여자 유럽축구선수권 대회(여자 유로)’ 결승전. 잉글랜드와 독일이 1-1로 맞서던 연장 후반 5분, 잉글랜드의 클로이 켈리 선수가 결승골을 넣고 환호를 지르며 상의를 벗어 던졌다. 그가 안에 입고 있던 것은 나이키 로고가 선명하게 찍힌 스포츠 브라. 다음 날 아침 주요 영국 신문들에 이 사진이 대문짝만 하게 실렸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나이키가 발 빠르게 여성 스포츠에서 기회를 포착한 덕분에 ‘암사자 군단(Lionesses)’ 승리의 후광 효과를 누릴 수 있었다”고 전했다. ​ 이날 결승전을 포함해 이번 여자 유로 대회에는 총 57만명 넘는 관중이 입장했다. 2017년 네덜란드 대회 때의 관중 기록(24만명)을 훌쩍 뛰어넘은 것이다. 결승전..

휴게시설 의무화 - 경영계 "공간 확보 어려워" 노동계 "전체 사업장 제재해야" FAQ

내일부터 사업장에 휴게시설 설치 안하면 과태료 ​ 20인 이상 사업장은 대상 50인 미만 사업장은 내년까지 유예 ​ 경영계 "공간 확보 어려워" 노동계 "전체 사업장 제재해야" 특고 사업장은 포함 안돼 ​ ​ 18일부터 전국 사업장에 휴게시설 설치가 의무화된다. 상시근로자수가 20인 이상인 사업장은 휴게시설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에 영세 사업장들은 공간 확보가 쉽지 않아 난감해 하고 있다. 반면 노동계는 과태료가 부과되는 사업장의 범위를 20인 미만 업체까지 전면 확대해야 한다며 정부를 성토하고 나섰다. ​ 고용노동부는 18일부터 모든 사업장에 휴게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는 개정 산업안전보건법이 시행된다고 17일 밝혔다. 확보해야 하는 휴게시설 공간은 최소면적 6㎡, 높이 2.1m이다...

휴게시설 설치 의무화…어기면 1천500만원 이하 과태료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50인 미만' 사업장은 법 적용 1년 유예 출처 : 연합뉴스 앞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은 반드시 휴게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설치하지 않거나 설치 기준을 지키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된다. ​ 고용노동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아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이 18일부터 시행된다고 17일 밝혔다. ​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과 시행령은 상시 근로자 20명 이상 사업장(건설업은 공사금액 20억원 이상), 7개 직종 근로자가 2명 이상이면서 상시 근로자가 10명 이상인 사업장의 휴게시설 설치 의무를 명문화했다. ​ 7개 직종은 전화 상담원, 돌봄서비스 종사원, 텔레마케터, 배달원, 청소원 및 환경미화원, 아파트 경비원, 건물 경비원이다. ​ 휴게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1천500만원 이하의..

728x90